달을 보는 새로운 눈, 1Q84
달을 보는 새로운 눈, 1Q84
대학교 1학년 때 접한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은 그의 세계로 빠져들기에 충분했다.
상실의 시대, 댄스댄스댄스 등 짧은 시간 동안 하루키의 소설을 무차별하게 읽어가며 하루키에게 동화되어가고 있었다. 그의 몇 권의 책을 빠르게 읽어가며 문득 들었던 생각은, 현실세계와 또 다른 세계, 인간의 존재와 실체에 대한 의문이 책 속에서 끊임없이 대두된다는 점이었다. 그 이후로 지겨워진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을 다시 집어들지 않았던 기억이 있다.
최근 작가를 지망하는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다, 우연히 무라카미 하루키의 이야기가 나왔다. 나는 하루키에게 질려버린 내 경험을 이야기 했고 그 친구는 혹시 1Q84를 읽어보았냐며 조심스레 물었다. 하루키의 삶을 연극이라 칭한다면 이 책은 마치 그 연극의 두번째 막이 시작된 것과 같은 종류라고. 예전의 내가 느꼈던 하루키의 일차원적인 감성과는 또 다른 느낌을 선물해 줄 것이라고.
그게 무엇이건, 나는 꼭 알아봐야 했나 보다.
글쎄 어떻게 보면 하루키의 두번째 막을 알아봐야겠다는 의지보다는 내가 그 친구의 글을 좋아하기 때문이었던 것 같기도 하다.
그 이유가 무엇이건, 나는 집에 돌아와서 노트북을 키고 바로 1Q84를 주문했다.
1Q84는 꽤나 긴 장편이었다.
한 권씩 1Q84의 장을 끝낼 때 마다 친구가 말했던 새로운 하루키의 세계를 나도 모르게 이해할 수 있었고, 나는 다시 무라카미 하루키를 좋아하게 되었다. 예전보다 농익은 생생한 묘사와 섬세한 표현력, 비록 그것이 책의 전개와 큰 연관이 없다 하더라도 하루키의 살아있는 묘사와 문장은 지웠었고 잊었었던 그의 대한 존경심을 끌어올리기에 충분했다. 절대 심심하지 않은 책의 전개와 사방에서 펼쳐지는 사건들이 거부감없이 하나로 합쳐지며 뭐라 단정할 수는 없으나 글의 개연성을 완벽하게 만들고 있었다.
책을 읽으며 묘했던 점은 3권에서 갑자기 우시카와의 1Q84가 등장했다는 것이다.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의 장을 읽어내려갈 때마다 반복하며 생각했지만 특별한 의미는 찾을 수 없었다. 내게 우시카와의 1Q84는 덴고와 아오마메의 만남을 보다 자연스로운 흐름으로 이어주는 책 속의 윤활류 같은 존재였다. 작가는 우시카와를 이러한 이유로 메인에 등장시킨 것일까. 하루키의 뜻은 언제나 열려있으니, 이러다 우시카와로 이어지는 1Q84 4권이 나올지도 모르는 일이다.
거의 한 달 남짓을 1Q84와 함께 보냈다. 주로 내가 책을 읽는 시간은 출퇴근길 지하철 안과 주말 오전 침대 위다. 그러다 보니 거의 매일 1Q84는 거의 나의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내 손과 내 가방에 언제듯 쥐어져 있었다. 꽤나 긴 장편이라 그만큼 함께한 시간이 길다보니 책에 대한 애정도 함께 자랐다.
1Q84, 두 개의 달.
퇴근하며 회사 정문을 밀고 밖으로 나오면, 나는 주로 크게 심호흡을 한 번 한다. 그리고 이 책을 집어든 이후로 가끔 하늘을 올려다보며 달의 갯수를 세어본다. 정말이지 언제부턴가 갑자기 달의 갯수가 바뀐다든지, 달의 색깔이 변한다든지 하는 하루키 같은 일이 생길지도 모르니 말이다.
이 책의 끝은 퇴근 길, 용산을 지나고 있을 즈음이었다.
3권의 마지막 책장을 넘기고, 탁 소리가 나게끔 책을 덮었다.
빠르게 지나가는 지하철 때문이었는지 하늘의 달은 보이지 않았다.